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프로그램
아시아의 민주주의 - 2022년을 전망하다 - "우리는 연대한다" - 1
일시
2022년 5월 20일 14:00-16:00
장소
211-213호
언어
한-영 동시통역
세션소개
민주주의 발전은 정책의 방향이 포용적이며 다자적인가 아닌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지구적 팬데믹은 정당성을 갖추지 못한 정권에 이를 은폐하고 독자행동으로 자국의 민주주의를 후퇴시킬 수 있는 좋은 빌미를 제공하기도 한다. 해당 세션에서는 홍콩,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필리핀의 각 국의 현황을 짚어보도록 한다.
세션주관
5·18기념재단, 전북대 동남아연구소, 캄보디아인권과개발협회(ADHOC), 시민권리증진센터(PEF)
발제
사회 :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
발제
2020년 이후 홍콩의 인권과 민주적 참여 개요 (홍콩 활동가/ 홍콩)
태국의 민주주의로의 오래되고 열악한 여정 (판딧 찬로차나킷, 출라롱콘대학교 교수, 태국)
캄보디아의 인권과 민주주의 상황 전반 (메스 살메, ADHOC 여성·아동 인권 본부 부본부장, 캄보디아)
미얀마 민주주의 재건설의 도전과 과제 (이상국, 연세대학교 교수, 미얀마(한국))
대통령 선거를 앞둔 필리핀의 인권과 민주주의 현황 (조안나 까리뇨, 코딜레라민중연합 설립자 및 고문, 필리핀)
포스터
연사 소개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
이상국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탄케 (Than Khe)
버마 학생 민주 전선(All Burma Students' Democratic Front) 대표
판딧 찬로차나킷 (Pandit Chanrochanakit)
출라롱콘 대학교 정치학 교수
메스 살메(Ms. Meas Salme)
캄보디아 인권과 개발협회(ADHOC)
조안나 K. 까리뇨 (Joanna K. Carino)
2019 광주인권상 수상자,
코딜레라시민연합(Cordillera People’s Alliance) 고문